학습차원에서 수집하고자, 전자신문과 이코노미조선의 기사 해당 내용을 인용.재편집한 글입니다. 인공지능(AI), 블록체인, 빅데이터 등 4차산업 혁명 도약을 위한 미래 신기술들이 연이어 등장하고 있다. 그 한가운데 금융과 IT를 결합한 핀테크 산업이 존재한다. 세계가 4차산업 준비를 위한 경쟁을 시작했다. 국경을 너머 경쟁하는 핀테크 기술과 산업의 발전속도는 가히 충격적이다. 전통 금융과 유통, 제조를 뛰어넘는 새로운 거버넌스를 형성하며 세계 산업 지형을 바꾸고 있다. 2016년 11월 8일, 인도에서 전대 미문의 혁명이 일어났다. “50시간 이내에 돈을 환금이나 계좌에 넣지 않으면 종이 쓰레기가 될 것이다.” 수상의 발표였다. 이른바 인도 캐시리스 혁명이다. 수상이 직접 두 종류의 고액 지폐 철폐를 발표한 것. 1000루피(1만7000원)와 500루피(약 850원) 지폐다. 발표한지 불과 4시간 후인 11월 9일 0시부터 화폐 사용은 전면 중단됐다. 두 지폐가 차지하는 통화 유통량은 86%에 달했다. 이때 모바일 결제업체인 Paytm이 움직였다. 현금이 모바일 결제로 전이되는 순간이었다. 왜 이렇게까지 대담한 통화 개혁을 했을까? 이유는 부정부패, 테러리즘, 그리고 위조통화를 척결하기 위해서다. 지하경제에 잠겨 있는 고액지폐를 백일하에 드러내기 위해서는 유예시간을 줘서는 안된다. 그렇기 때문에 4시간 후에 사용금지, 50일 후에 종이 쓰레기가 된다고 규정했다. 반년 후나 1년 후에 폐지한다는 것은 의미가 없는 것이다. 고액 지폐 폐지의 목적은 오픈(Open), 리치(Reach), 쵸크(Choke), 엔드(End) 4가지다. 오픈이란 가난한 사람, 신흥중간층, 중간층의 사람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연다(Open)는 것. 리치는 일반 사람들의 손에 마이홈과 고학력, 헬스케어가 도달(Reach) 되도록 하는 의미를 담았다. 12억5000만 명의 세계 2위 인구를 갖고 있으며, 2015년 7.3% 경제성장을 한 인도이지만 카스트제도(법률에 의해 금지되었다)에 의한 빈부 격차가 남아 있다. 급속한 경제성장이 빈부 격차를 확대시키고 있다. 수도인 델리에서는 5만 명의 홈리스가 주운 폐지로 비와 이슬을 피하고, 구걸과 쓰레기 수집으로 생계를 이어가고 있다. 모디 수상은 이번 조치를 통해 세수를 올리고 부유층 이외 계층에 환원시킴으로써 누구라도 도전할 수 있는 오픈된 환경을 정비하고 사회보장을 충실화 하려는 혁명을 일으켰다. 지하에 잠긴 자금은 테러리스트의 암약을 돕고, 지하사회를 풍요롭게 할 뿐이다. 위법 행위에 대해 단호하게 싸우겠다는 강한 결의를 모디 수상이 표명했다. 이것이 “국가의 자유를 위한 전쟁”이라는 말에 나타나 있다. 이 혁명의 한가운데 캐시리스를 이끈 IT가 존재했다.

인도 정부가 고액지폐를 폐지한 후 캐시리스는 현실에서 정말로 이뤄졌을까. 영향력은 놀라웠다. 은행은 이 시책으로 일주일 만에 예금이 220억달러 늘었다. 차량공유업체 올라(Ola)는 재충전액이 15배 늘었다. 반면에 e커머스 현금 착불 방식은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인도 중앙은행에 따르면 캐리시스 선언 후 9일간 UPI(Unified Payments Interface) 트랜잭션은 35만8000건을 기록했다. UPI는 인도 결제시스템으로 휴대전화번호로 은행 간 송금이 가능한 플랫폼이다. 개인 간 송금뿐만 아니라 상품 구입 결제에도 이용되고 있다. 현재 이용자 수는 2500만명을 돌파했다. 인도 정부도 가맹점에 UPI 결제를 장려하고 있다. 목적은 명확하다. 비 현금거래(Less Cash) 확대와 디지털 사회로의 이행이다. UPI는 실시간 결제 플랫폼이다. 24시간 365일 이용 가능하다. UPI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제휴은행 계좌 고객이다. 안드로이드 단말기로 애플리케이션(앱)을 다운로드 후 이름과 ID,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은행계좌와 링크하면 사용할 수 있다. 친구와 나눠내기나 공동요금 결제, 기부에 이용할 수도 있다. 한국에서 최근 추진하는 모바일결제 모습이다. 인도 정부 조치로 가장 이용이 확대된 곳은 모바일결제업체 페이티엠(Paytm)이다. 일주일 동안 취급액은 1000%, 취급건수는 700%, 평균 이용액은 200% 증가했다. 앱 내려받기도 300% 늘었다. 경이적 성장세다. 정부와 민간 합작품이다. 그렇다면 인도 정부의 고액지폐 폐지는 페이티엠 비즈니스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페이티엠 하루 평균 이용과 비교하면 월렛 계좌로의 입금은 1400%, 트래픽은 700%, 앱 다운로드 수는 300%, 취급액은 200%를 기록했다. 앱 다운로드 수는 누계 5000만건을 넘었고 1인당 페이티엠 이용건수는 주 2.5회에서 3회로 증가했다. 이 기업의 성공 비결은 역시 소비자의 눈높이를 맞춘 정책이 주효했다. 페이티엠은 소비자와 언어로 대응했다. 인도는 다언어 국가로서 인도 전역에 600~800개 언어가 존재한다. 그 중 3000만명 이상이 쓰는 언어로 좁히더라도 13개 이상이다. 인도 국민의 80% 이상이 해당 언어로 인터넷 서비스를 희망하고 있다. 페이티엠은 안드로이드 앱을 지역 언어로 변환해 제공했다. 사내에 번역과 문법 체크를 하는 태스크포스(TF)를 결성하고 상기 10개 언어 대응에 착수했다. 힌디어, 타밀어, 텔루구어, 구자라티어, 마라티어, 간나다어, 벵갈어, 말라야람어, 오리야어, 푼잡어 등이다. 가맹점 개척에도 신경 썼다. 4000명의 페이티엠 에이전트를 구성하고, 하루 2만5000개 점포를 개척했다. 일반 금융사였다면 몇 년이 걸려도 힘든 일이다. 결국 소비자 접점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보다 빠른 의사판단과 실행능력이 성공으로 이끌었다. 길재식 금융산업 전문기자 

인도 모바일 결제 기업 페이티엠 인도에서 모바일 결제가 급성장하고 있다. ‘검은돈’을 근절하기 위해 고액권 사용을 중지한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화폐개혁이 불러온 나비효과다. 은행 계좌를 가진 인도 국민은 절반에 불과하고, 상거래의 98%가 현금으로 이뤄질 정도로 인도인들은 현금 거래를 선호해 왔다. 이 점을 감안하면 모바일 결제의 폭발적 성장은 놀라운 변화다. 인도 결제 문화를 바꾸고 있는 기업은 모바일 결제 시장 선도 업체 페이티엠(Paytm)이다. 페이티엠의 모회사는 인도 전자상거래 업체 ‘원97커뮤니케이션즈(이하 원97)’이고, 원97의 최대주주는 마윈(馬雲) 회장이 이끄는 중국 거대 IT 기업 알리바바의 금융 계열사인 앤트파이낸셜(마이진푸·蟻金服)이다. 이 회사는 모바일 결제 시스템 ‘알리페이’를 서비스하고 있다. 페이티엠이 화폐개혁을 틈타 인도에서 모바일 결제 문화를 퍼트린 데엔 알리페이의 기술력이 큰 보탬이 됐다. 화폐개혁 부작용으로 위기에 처한 모디 총리를 알리페이가 구해준 셈이다. 모디 총리는 2016년 11월 국내총생산(GDP)의 20~30%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지하경제를 양성화하고 세수 확대를 위해 화폐개혁을 실시했다. 500루피(약 8900원)와 1000루피(약 1만7800원)의 고액권 지폐 사용을 중단하고, 500루피와 2000루피 신권으로 교환해준다는 내용이었다. 이 조치로 시중에 유통되던 화폐의 86%를 사용할 수 없게 됐다.

현금 거래 선호 印 문화 바꾼 페이티엠 화폐개혁은 인도 경제에 혼란을 일으켰다. 특히 은행 계좌가 없고 현금 사용이 많은 빈곤층과 중산층이 큰 타격을 받았다. 일용직 근로자는 임금을 제때 받지 못해 생필품 구매를 줄였다. 은행에서 신권을 교환하는 데 3~4시간 이상 걸려 서민들은 새 화폐를 손에 넣기도 힘들다. 하루 생업을 포기하고 은행에 줄을 서기도 한다. 이 때문에 모디 총리는 정치적으로 타격을 받았다. 제1야당 소속으로 직전 총리였던 만모한 싱 상원의원은 “화폐개혁 목표(검은돈 근절)에는 동의하지만, 이번 조치는 사실상 합법적이고 조직적인 약탈”이라고 비난했다. 그는 또 “이번 조치로 GDP가 최소한 2%는 줄어들 것”이라고 했다. 야당은 화폐개혁에 반대하는 전국 규모 시위를 했다.


中 알리페이 기술 도입해 빠르게 확산 정치적 위기에 처한 모디 총리에게 희망을 준 것이 페이티엠이다. 서민들이 지갑에 현금을 갖고 있지 않아도 생필품을 살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현재 페이티엠으로 하루에 결제되는 거래는 650만건이다. 화폐개혁 이후 1달 반 만에 3배로 급증했다. 인도 PTI통신에 따르면 페이티엠 거래액은 1일 평균 12억루피(약 212억7600만원)다. 페이티엠은 인도 인구 13억명 중 1억5000만명의 이용자를 확보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원97의 비자이 샤르마 CEO가 지금을 ‘인생에 한 번 오는 기회’로 보고 1만1000명인 직원을 3배로 늘릴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페이티엠으로 결제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페이티엠에 가맹된 상점에서 물건을 고르고 대금을 지불하기에 앞서 계산대에 놓인 페이티엠 QR코드를 고객 스마트폰의 페이티엠 앱으로 읽는다. 페이티엠이 상점 정보를 확인하면, 고객이 지불해야 할 금액을 페이티엠 앱에 입력한다. ‘지불(pay)’ 버튼을 누르면 상점 주인의 스마트폰에 대금이 들어왔다는 문자가 온다. 그러면 구매한 물건을 갖고 나가면 된다. 페이티엠은 QR코드를 이용해 결제할 수 있는 방법을 2015년 10월 도입했다. 중국의 알리페이와 같은 방법으로, 페이티엠과 알리페이가 맺은 전략적 제휴의 결과물이다. 중국에선 알리페이로 백화점과 고급 식당은 물론, 노점상과 지하철 자판기, 택시에서도 결제할 수 있다. 신용카드는 받지 않아도 알리페이로는 결제할 수 있는 상점이 많다. 앤트파이낸셜은 2015년 3월 페이티엠에 5억7500만달러를 투자해 25%의 지분을 확보하고 전략적 제휴를 맺었다. 같은 해 9월엔 6억8000만달러를 더 투자해 지분 40%를 보유한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인도의 영자 경제 일간지 이코노믹타임스는 2016년 1월 “알리페이는 페이티엠에 전자결제 기술과 리스크 관리 시스템을 제공해 페이티엠이 더 빨리 성장하고 고객이 뛰어난 결제 경험을 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키란 바시레디 페이티엠 수석부사장은 “우유를 사고 택시와 영화 티켓을 예약하며, 공과금을 전자결제로 처리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중국 경제지 차이신(財新)은 원97의 샤르마 CEO가 알리바바 본사가 있는 중국 항저우(杭州)를 정기적으로 방문해 QR코드 기술을 이용한 알리페이의 결제 노하우를 배우고 있다고 전했다. 샤르마 CEO는 “중국을 방문하기 전까지 페이티엠의 누구도 QR코드를 이용한 결제가 인도에서 널리 받아들여질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모디 총리도 페이티엠과 같은 전자결제 서비스 보급을 장려하고 있다. 인도 정부는 전자결제를 한 판매자와 소비자를 대상으로 2016년 12월 25일부터 100일간 매일 1만5000명을 추첨해 1000루피씩 지급한다. 또 1주일에 한 번씩 소비자 7000명에게 최대 10만루피의 상금을 주고, 전자결제로 물건을 판 상인을 대상으로 추첨해 최대 5만루피의 상금을 지급한다. 100일이 끝나는 2017년 4월 14일에는 1등 당첨자를 추첨해 1000만루피를 줄 예정이다. 모디 총리는 이 제도를 ‘크리스마스 선물’이라면서 “현금 없고 부패 없는 인도로 이행하려는 시도”라고 했다. 앞서 인도 재무부도 신용카드와 전자결제를 이용해 주유비를 결제하면 0.75%를 할인해주는 등 디지털 거래 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인 빌 게이츠는 모디 총리의 화폐개혁으로 디지털 거래가 증가하고 부패 청산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2016년 11월 인도에서 열린 한 강연에서 “기존 고액지폐 유통을 중단한 것은 ‘지하경제’에서 ‘투명 경제’로 이행하는 중요한 조치”라며 “인도는 수년 내에 가장 디지털화한 경제권이 될 것”이라고 했다.

+ Recent posts